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관련지식

자기자본비용의 추정 자기자본비용은 CAPM (Capital Asset Pricing Model)이론에 따라 추정함. 관련된 내용이 자세하게 설명된 블로그를 참고로 정리함. -------------------------------------------------------------------------------- CAPM외 자기자본비용 구하기 - DCM(배당자산모델) [출처] CAPM외 자기자본비용 구하기 - DCM(배당자산모델)|작성자 제이 더보기
권리락 계산하기(배당락 계산하기) 권리락에 관하여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 별표2 참고 혹시나 궁금해 하실수도 있을것 같은데, 이 공식에 대한 유도과정은 나중에 추가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현금배당인 경우 배당락일에 인위적인 가격조정은 없습니다. 시장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고 배당락일에 시초가에 반영이 된다고 가정하기 때문입니다. (과거90년대까지는 배당금액만큼 주식가치가 하락하였다고 보고 금액을 조정하였습니다.) [별표2] 배당락 또는 권리락의 기준가격 1. 배당락 가. 기상장된 주식과 같은 종류의 주식을 배당하는 경우 ․보통주식 기준가격 = (보통주식 배당부종가 × 배당전 보통주식 주식수) / (배당전 보통주식 주식수 + 보통주식 주주에 배당한 보통주식 주식수) ․종류주식 기준가격 = (종류주식 배당부종가 × 배당전 종류주식 주.. 더보기
기준가격결정_ 자본감소의 경우 등 자본감소시 기준가격 설정은 아래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에 따릅니다. 참고로 주식병합의 경우에는 아래 2가지를 구분하여야 한다. 1 단순 주식병합시 2 소액주주를 대상으로 하는 자본감소를 수반하는 주식병합(또는 소각)시 유가증권시장 업무규정 제20조(호가의 가격제한폭) ①주권, 외국주식예탁증권, 상장지수집합투자기구 집합투자증권 및 수익증권의 호가가격은 세칙이 정하는 가격제한폭을 정할 때의 기준이 되는 가격(이하 “기준가격”이라 한다)에 가격제한폭을 더한 가격(이하 “상한가”라 한다)보다 높거나 기준가격에서 가격제한폭을 뺀 가격(이하 “하한가”라 한다)보다 낮아서는 아니된다. 이 경우 상한가 또는 하한가가 적절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여 세칙이 정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제37조(신규상장종목등의 최초의 가격결.. 더보기
[개념정리] 주요종속회사란 무엇인가?_지배회사 종속회사 주요종속회사 계열회사 모회사 자회사 많은 사람들이 지배회사와 종속회사, 그리고 주요종속회사 및 계열회사, 모회사, 자회사의 개념을 불분명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관해 정리해 본다. 기본적으로, 모든 공시/회계 관련 용어가운데 지배회사와 종속회사의 개념은 IFRS(국제회계기준)에 따른다. 다만, 각종 법규정에서 목적에 따라 필요한 용어를 따로 정의 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해당 법규를 확인해야 한다. 먼저 지배회사와 종속회사는 상대적인 관계로서 지배/종속관계에 있는 두 회사를 지칭한다. 그러한 종속회사 가운데, 규모나 중요도 측면에서 "주요종속회사"를 정하는데 기업공시작성기준과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서 조금 다르므로 혼동의 여지가 있다. 이는 최근, 한국거래소에서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연결공시제도를 도입하면서, .. 더보기
CAGR 엑셀에서 계산하기 CAGR이란?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의 약자로 연평균성장률 정도의 의미입니다 참고로 Compound는 복리를 의미합니다. 복리나 연평균성장률이나 개념은 같습니다. CAGR = [(마지막해 값/첫해 값) ^(1/햇수)] -1 예를 들면 100원 예금이 5년만에 200원이 되기 위해서는 얼마짜리 복리예금에 들어야 하는가? 라고 했을때, CAGR 개념을 응용하면, (200/100)^(1/5)-1 = 0.148698... 즉 14.9% 예금에 들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는, 현재 100원인 매출액이 만 5년이라는 기간에 200원의 매출액이 되려면 연평균 몇 % 로 성장해야하는가와 내용상 본질은 같으므로 연평균 14.9% 성장해야 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간단하게 위 수식을 입력.. 더보기